진료안내
Gwangju Public Children's Rehabilitation Medical Center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
어린이 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 운영
어린이 재활의료기관 운영 시범사업이란?
지역사회 장애어린이가 거주지역 인근에서 적기에 전문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장애를 최소화하고, 타 지역으로 이동하여 진료받아야 하는 가정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
시범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시범사업 대상
- 전문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한 26개군 상병에 해당하는 만 18세 이하 어린이 환자
- 연령별, 상병별 치료 기간 또는 치료내용이 상이하므로 자세한 사항은 재활의학과 외래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시범사업 주요 내용
- 발달단계를 고려한 생애주기별 어린이 전문 재활치료 제공
- 통합적 평가, 맞춤식 치료 계획 수립, 체계적 전문 재활치료를 통해 장애 최소화
(통합재활 기능평가, 통합계획 교육 상담 등) - 지역사회 내 특수교육, 보육, 보건, 복지관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와의 유기적 연계 체계를 마련
시범사업 장점
- 건강보험 적용 범위 확대
- 기존에 비급여로 받던 치료를 건강보험 내에서 언어치료, 감각통합치료, 전산화 인지치료, 도수치료 등 건강보험에 적용 가능하여 치료비 부담 감소
-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치료 시간 활용
- 재활의학과 전문의, 간호사, 물리·작업치료사, 사회복지사 등 소아 재활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어린이 전문 재활팀을 운영하고, 환자 상태의 종합적 평가와 함께 환자 맞춤식 치료 계획을 수립하며,
체계적인 재활치료를 진행합니다.
대상 상병
상병코드 | 상병명 |
---|---|
C71 | 뇌의 악성 신생물 |
G00~09 | 중추신경계통의 염증성 질환 |
G10~12 | 일차적으로 중추신경계통에 영향을 주는 계통성 위축 |
G20~26 | 추체외로 및 운동장애 |
G35~37 | 중추신경계통의 탈수초질환 |
G40~41 | 뇌전증 및 뇌전증지속상태 |
G50~59 | 신경, 신경근 및 신경총장애 |
G60~64 | 다발신경병증 및 말초신경계통의 기타 장애 |
G70~73 | 신경근접합부 및 근육의 질환 |
G80~83 | 뇌성마비 및 기타 마비증후군 |
G90~99 | 신경계통의 기타장애 |
I60~69 | 뇌혈관질환 |
P05, P07 | 임신 기간 및 태아발육과 관련된 장애 |
P10~11, P13~15 | 출산외상 |
P20~22, P24 | 출생전후기에 특이한 호흡기 및 심혈관 장애 |
P52 | 태아 및 신생아의 두개내 비외상성 출혈 |
P57 | 핵황달 |
P90~91, P93~94 |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기타 장애 |
Q00~07 | 신경계통의 선천기형 |
Q11, Q16, Q18 | 눈, 귀, 얼굴 및 목의 선천기형 |
Q35, Q37 | 구순열 및 구개열 |
Q65~74, Q76~79 | 근골격계통의 선천기형 및 변형 |
Q86~87, Q89 | 기타 선천기형 |
Q90~93, Q95~96, Q99 | 달리 분류되지 않은 염색체이상 |
R62 | 기대되는 정상 생리학적 발달의 결여 |
T90~98 | 손상, 중독 및 외인에 의한 기타 결과의 후유증 |